보수(補數) 그리고 보수를 이용한 빠른 계산법

2021. 1. 20. 21:33기본수학/수와 연산

보수란

보충을 해주는 수를 의미합니다.

예를 들어 10이 되기 위해 3이 필요한 수 x 값 7을 10에대한 3의 보수라고 말합니다.

다시말해, 10=y+x일때 x값을 10에 대한 y의 보수라고 합니다.

 

z에 대한 y의 보수 x를 구하는 식을 이를 문자식으로 정리하면

z=y±x

 

보수를 이용한 빠른 계산법

위에서 이야기한 보수의 개념을 이용하여 계산에 적용하면 암산이 쉽고 빨라집니다.

 

보수를 이용한 빠른 덧셈

 

예제)

64+37=

계산하기 편하도록 각 항을 10단위, 또는 100단위가 되기 위한 보수를 각각 더해주고

다시 그 값을 빼 줍니다.

(706)+(403)=

1109=

101

 

보수를 이용한 빠른 뺄셈

 

예제)

368297=

각 상수항이 100단위가 되기 위한 보수를 각각 더해주고

다시 그 값을 빼 줍니다.

(40032)(3003)=

10035=

65

 

보수를 이용한 빠른 곱셈

 

예제)

3×98=

역시 편하게 계산을 하기 위해 숫자가 큰 상수항에 100단위가 되기위한 보수를 더해주고

그 값 만큼의 값을 빼주는 식을 만듭니다.

3×(1002)=

곱셈의 분배법칙을 사용하여 괄호를 풀어줍니다.

3006=

큰 값에서 작은값을 빼주면 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.

297

 

그럼 나눗셈은???

 

보수를 사용해서 계산 하는 방법은 있지만

제 생각에는 오히려 복잡해지는듯 하여 패스~

 

 

'기본수학 > 수와 연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