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수와 허수 그리고 복소수의 연산

2021. 1. 14. 18:10기본수학/수와 연산

실수(real number)란

유리수와 무리수를 모두 합한 수로, 수직선 위에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수.

모든 실수는 제곱을 하였을때 그 결과 값이 모두 양수입니다.

 

허수(imaginary number)란

실수에서는 제곱했을 때 음수가 되는 수는 없지만, 음수의 제곱근으로서의 허수라는 개념을 도입.

허수의 단위는 1이고 이를 'i'로 표시합니다.

따라서 i2=1이다.

 

(1) 2=2×1=2×i=2i

(2) 4=4×1=2×i=2i

 

복소수(complex number)란

복소수는 실수와 허수의 합의 모양으로 나타낸 수를 말합니다.

a+bi가 일반적인 복소수의 형태입니다.

즉, a+bi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어야 복소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.

(단, ab는 실수이다.)

 

예시) 4+9i545i0.28+7i23i, ......

 

 

켤레복소수(conjugate complex number)란

복소수 z=a+bi에 대해 abiz의 켤레복소수라고 하며, z¯로 나타냅니다.

 

 

복소수의 연산

복소수는 연산을 해도 복소수...

 

(1) 더하기

(a+bi)+(c+di)=(a+c)+(b+d)i

 

(2) 빼기

(a+bi)(c+di)=(ac)+(bd)i

 

(3) 곱하기

(a+bi)×(c+di)=a×(c+di)+bi×(c+di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ac+(ad)i+(bc)i+(bd)i2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ac+(ac)i+(bc)i+(bd)(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(acbd)+(ac+bc)i

 

(4) 나누기

(a+bi)÷(c+di)=a+bic+di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a+bic+di×cdicdi  *복소수의 실수화(유리화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(a+bi)×(cdi)c2d2i2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a+bi)×(cdi)c2d2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(ac+bd)+(bcad)ic2d2

 

 

*복소수 분수 형태 실수화(유리화)하기

분모 자리 복소수의 켤레복소수를 분자, 분모 모두 곱하여 분모를 유리화 시켜주는 과정.

 

 


[참조]
어른들을 위한 기초 수학: 초등부터 고등까지
https://www.edwith.org/sutudy/lecture/26192